해외주식 (AISW)/AISW 해외주식 주가현황

제타 글로벌 홀딩스 37% 폭락 뒤 회복 중 다시 하락.. 이노데이터도 17% 조정을 보인 한주

Charging Bull [차징 불] 2024. 12. 12. 21:02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양자컴퓨터와 코인의 시대 제이슨입니다.

 

지난주 대비 이번주 AI SW 관련 관심종목 주가 현황을 보면,

 

이번주는 그동안의 상승 피로감으로 잠시 쉬어가는 한주라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종목이 다소 조정을 받았는데요.

12일 새벽 연준의 CPI 가 예상치에 부합하고, 미국 경제가 아직 강하다는 신호가 나온 이후 다시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팔란티어가 주간 가격기준 3.4% 상승했구요.

퓨어스토리지가 3.0% 상승..

그리고 C3.ai 는 7% 상승을 했네요

다만, 최근 좋은 모습을 보여줬던 이노데이터는 17.4% 하락하면서 다소 큰 조정을 보여 줬습니다.

 

오늘은 다소 큰 폭의 하락을 보인 이노데이터와 제타글로벌홀딩스 조금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종목 전주 이번주 변동가격 변동률
어도비 - 549.93 - -
팔란티어 69.85 72.51 2.66 3.4%
마벨 테크놀로지 그룹 - 111.36 - -
퓨어스토리지 53.54 62.00 8.46 3.0%
C3.ai 37.59 38.18 0.59 7.1%
이노데이터 45.66 37.73 7.93 17.4%
제타 글로벌 홀딩스 - 21.53 - -
파가야 테크놀로지스 - 9.79 - -
다이나 트레이스 - 56.29 - -
스노우 플레이크 - 171.96 - -
오토데스크 - 307.46 - -
로블록스 - 59.89 - -
크레도 테크놀로지 - 69.46 - -
유아이패스 - 14.64 - -
센티널 원 - 23.57 - -

 

 

지난주에 이노데이터에 대해서 기대되는 종목이라고 소개를 해 드렸었는데요.

이번주에 조정을 많이 받은 모습입니다.

그래서, 다시한번 이 종목에 대해서 조금 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멀티배거 종목을 식별하려면 몇가지 주요 트렌드를 살펴봐야 하는데요.

무엇보다도 두가지를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째는 사용자본이익률 (ROCE) 이 증가하는지..

둘째는 회사의 자본 사용 금액이 확대되고 있는지를 보는게 중요한데요..

 

이 것을 보고 우리가 유추할 수 있는것은 회사가 수익을 계속해서 더 높은 수익률로 재투자 하고 있는지를 볼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ROCE가 무엇인지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해 설명을 드리면,

ROCE는 회사가 사업에 투입한 자본에서 창출할 수 있는 세전 이익의 양을 측정하는 것인데요,

 

사용자본이익률  = 이자 및 세금 공제 전 이익(EBIT) ÷ (총 자산 - 유동 부채)

 

계산을 해보면 Innodata의 ROCE는 27%입니다. 

0.27 = 1,600만 미국 달러 ÷ (8,800만 미국 달러 - 3,000만 미국 달러) (2024년 9월까지의 최근 12개월 기준) .

 

수치로만 보면 환상적인 수익률일 뿐만 아니라, 유사한 산업의 회사들이 얻는 평균 15%를 앞지릅니다.

 

Innodata가 투자에서 보상을 받고 세전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는 사실이 고무적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왜냐면, 약 5년 전만 해도 이 회사가 손실을 보고 있었는데, 근데 상황이 바뀌어 지금은 자본에서 27%를 벌어들이고 있습니다.

실적을 조금만 더 자세히 보면,

 

 2021년 부터 3년 연속 적자 (당기순이익 기준) 를 기록하였으나, 올해부터 흑자로 전환

 특히 3분기에 5,220만 달러라는 최고 매출을 기록

 회사의 매출은 계속 증가 추세이며, 특히 올 3분기에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급격히 증가

 PER 도 다른 종목대비해서 그렇게 높은 편이 아니고, EPS BPS 모두 증가 추세임

 

거기에 다가 Innodata는 이전보다 60% 더 많은 자본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이 말해주는 것은 내부적으로 어느 때보다 더 높은 비율로 자본을 투자할 수 있는 기회가 많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구요, 이는 대개의 멀티배거의 종목의 공통적인 특성이라고 할 있습니다.

 

그리고 지난 시간에 말씀드린바와같이 ,

 

▷이노데이터는 Magnificent Seven ( 엔비디아·애플·마이크로소프트·메타 플랫폼스·아마존닷컴·알파벳·테슬라 ) 기술 회사 중 5개 사와 관계를 맺고 있구요.

Amazon, Google, Meta, Microsoft에 대한 2025년 CapEx (유형자산취득을 위한 자본지출) 가 약 3,000억 달러, 2026년 CapEx가 3,37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어 Innodata에 큰 수혜 예상됩니다. (모건스텐리 자료 인용)

 

전문가들의 의견을 말씀드리면 Innodata의 연간 수익과 매출은 각각 23%, 25.5%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구요, EPS는 연간 16.3%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고 합니다.

 

정리하면,

주가가 이번주 조정되긴 했습니다만, 시총대비 기초체력이 좋아지고 있는 회사이고 내년도 성장전망도 좋기때문에 주가는 베이스를 다지고 다시 좋은 모습을 보여주리라 생각됩니다.

 

 

 

 

이어서 제타 글로벌 홀딩스를 잠시 말씀드릴까 하는데요

 

제타 글로벌 홀딩스는 미국과 전 세계 기업에 소비자 인텔리전스와 마케팅 자동화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옴니채널 데이터 중심 클라우드 플랫폼을 운영 회사라고 합니다.

이 회사의 Zeta Marketing Platform은 수십억 개의 데이터를 머신 러닝 알고리즘과 데이터 세트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소비자 의도를 예측한다구 하구요.. 또 다양한 데이터 포인트를 수집, 분석 및 정제하여 소비자의 신원, 프로필 특성, 행동 및 구매 의도를 예측한다고 하는데요. 한마디로 소비자 데이터를 분석해서 주요 고개사들에게 마케팅과 광고전략을 컨설팅 해주는 회사라고 볼 수 있겠네요..

 

이 회사의 시가총액은 51억 1천만 달러이고, PER은 -34.36이며, 베타는 1.12 이구요. 이 회사의 부채 대 자본 비율은 0.41이고, 유동자산 비율은 3.32이며, 신속자산 비율은 3.32

 

이 회사는 분기당 주당 순이익(EPS)을 마이너스 ($0.09) 로 나오구요, 합의 추정치인 $0.17보다 ($0.26) 낮습니다. Zeta Global 순이익률은 13.35%, 자본수익률이 45.22% 마이너스였습니다. 그리고 이번 분기에 $268.30M의 매출을 올렸구요, 분석가 추정치 $252.68M 를 상회했네요.

작년 같은 분기에 이 회사는 EPS 마이너스 ($0.27)을 기록했었는데 좋아졌구요.. 분기 매출은 작년 같은 분기에 비해 42.0% 증가했습니다. 

 

적자 기업이긴 하지만 적자 폭이 줄고있고, 매출도 분기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IPG 인수로 사업을 확장하는 것이 보이고, 고객사도 늘어나는등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구요

 

다만, 최근에 컬퍼 리서치가 발표한 보고서 이후 단 하루 거래일 동안 주가가 37% 폭락했다고 하는데요.

보고서 에서는 일부 회사 임원들이 수익을 빼돌리고 여러 가지 사기 행위를 했다고 하구요.. 회사가 양방향 계약 및 사기적 관행을 사용하여 수익을 인위적으로 부풀리고 투자자를 오도했다고 비난했습니다

 

주주 권리 회사인 하겐스 버먼이 Zeta Global이 실제로 사기 행위에 관여하고 투자자를 오도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컬퍼 리서치 가 제기한 주장을 조사하고 있는 중이라고 합니다. 투자자들을 대리하는 로펌인 하겐스 버먼의 파트너인 리드 캐서린 이라는분은 "만약 이것이 사실로 입증된다면 Zeta의 행동은 심각한 증권 사기를 구성할 수 있다" 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사실이 정말이든 아니든 아직은 그렇게 투자 매리트가 있는 종목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일부 방송에서는 굉장히 긍정적인 전망을 많이 해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요,

업종의 특성상 경쟁사와 차별화를 계속 유지하기가 쉽지않은 섹터이고,

언제든 시장 지위가 바뀔수 있는 분야라고 보여지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지금은 아직 적자 종목이고 실적을 동반하고 있다고 보기에는 아직은 무리가 있기 때문에 지금 투자하기 보다는 계속 지켜보고 공부하면서 투자 시점을 조율하는 것이 필요한 종목이라고 보여집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