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코인/메타코인 가격현황

헤데라 70% 폭등 , 리플은 주 초 수이는 주 후반 강세

Charging Bull [차징 불] 2024. 12. 7. 04:43
728x90
반응형

이번주 코인 가격변동 현황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코인의 지수인 비트코인은 지난주 대비 2.0 % 상승했습니다.

이번주는 비트코인이 10만 달러를 돌파한 한 주 였습니다. 한국 시간으로 목요일 오후 12시에서 1시경에 10만 달러를 돌파해서 목요일 오후 내내 10만 달러를 상회하고 있었지만 다시 9만달러 회귀했습니다.

 

10만 달러를 돌파하게 된 주요 원인으로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SEC 위원장에 친 암호화폐 인물인 폴 앳킨스 전 SEC 위원을 지명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상승 재료로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암호화폐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리인 만큼 그 효과가 직접적으로 난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당선인도 이어서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10만 달러돌파를 축하하는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습니다. 지난 미 대선 과정에서  "미국이 지구의 가상화폐 수도이자 세계의 비트코인 슈퍼파워가 되도록 하겠다"라면서 가상화폐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는 "친비트코인 대통령"이 되겠다고 공약했던 것이 허언이 아님을 증명한 메시지 였습니다.

 

심지어는 친 민주당 인사로 분류되는 미 연준 파월 의장 마저도 “비트코인은 가상의 금과 같다. 변동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달러가 아닌 금의 경쟁자”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비트코인이 화폐를 대체할 수는 없지만, 금과 맞먹거나 금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정적인 투자 대상으로 인정한 것인데요...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미국 가상 자산 거래소들은 가격 변동이 심한 이른바 ‘밈 코인’(유행성 코인)도 공격적으로 상장하고 있습니다. 미국 코인 거래소 바이낸스US는 5일 밈 코인 ‘페페(PEPE)’를 상장했구요. 앞서 지난달 13일에는 개를 테마로 한 ‘봉크’도 상장됐는데, 하루 만에 가격이 30% 뛰기도 했습니다.

 

이어서,

비트코인 외에 알트코인의 주간 가격 변동현황을 보면,

 

헤데라가 무려 70% 가까이 폭등을 했습니다. 이 것도 주 후반에 약세를 보여 이 정도이구요.

주 초반에는 거의 100% 가까이 폭등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헤데라의 상승 원인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즉시결제시스템 '페드나우'(FedNow)와의 연동이 주요 상승 재료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 헤데라를 운영하는 헤데라 해시그래프(Hedera Hashgraph)에는 구글, IBM과 같은 주요 기술 기업이 이사회 회원에 참여하며 결제 분야에서 주목을 끌고 있고, 헤데라의 분산원장기술(DLT)을 활용하는 소액결제 플랫폼 '드롭'(Dropp)이 페드나우 서비스 제공업체로 선정되면서 소매 시장에서 즉시 결제가 가능해질 전망이라고 합니다.

 

이어 리플도 지난주에 이어 이번주도 33% 상승을 했습니다. 게리겐슬러 위원장 사임이후 가장 큰 수혜를 받은 종목 이기도 한데요.. 사임 뉴스 외에도 리플의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RLUSD' 승인 가능성에 추가로 상승한 것이란 분석이 있습니다.

다만, 헤데라와 리플이 주 초 너무 오르다 보니 주 후반에는 조금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주 후반에는 갑자기 수이가 부상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최근 뉴스로는 이어1 블록체인 개발을 지원하는 수이 재단과 멀티체인 월렛 팬텀(Phantom)이 암호화폐 수이(SUI) 지원을 예고했다고 하네요. 팬텀 월렛에서 수이 입출금과 관리를 곧 지원할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팬텀 월렛은 당초 솔라나(SOL) 전용 월렛으로 출발했는데요. 현재는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등 주요 암호화폐와 NFT를 지원하고 있고, 이제는 수이까지 지원한다고 발표하면서 수이의 전일 대비 15.76% 급등을 지원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 외에도,

헤데라와 리플만큼은 아니지만 에이다도 지속적으로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구요.

이번주에는 밈코인 시바이누도 17% 상승하면서 어느정도 의미있는 상승을 보여줬습니다.

 

종목 전주 이번주 변동가격 변동률
비트코인 134,641,000 137,306,000 2,665,000 2.0%
스텔라루멘 735.3 652 83.2 11.3%
헤데라 232.4 392.9 160.5 69.0%
수이 4,826 5,854 1,028 21.3%
리플 2,385 3,174 789 33.1%
에이다 1,456 1,620 164 11.2%
도지 587.7 600.4 12.7 2.2%
이더리움 4,949,000 5,421,000 472,000 9.5%
솔라나 334,600 330,700 3,900 1.2%
시바이누 0.036 0.0421 0.0061 17.0%
페페 0.02841 0.02971 0.0013 4.6%
니어프로토콜 9,490 10,830 1,340 14.1%
테더 1,387 1,404 17 1.2%
셀레스티아 11,160 11,960 800 7.2%
폴카닷 11,960 14,300 2,340 19.6%
에이셔 101 106.9 5.9 5.8%


 

 

이어서 차트를 보겠습니다.

상위 시총 코인 종목 [비트코인 , 이더리움 , 솔라나 , 리플 , 에이다 ] 의 상승률 만을 같은 차트에서 비교분석 해보겠습니다.

올 1월을 기준으로 상승률은 본 것인데요.

1월을 기준으로 하면 , 최근 급격한 상승을 한 리플이 상승률 1등 이네요.

11월 전 까지는 솔라나가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만, 11월 이후에 리플이 급등하면서 상승률 1위 자리를 내줬습니다. 2위는 솔라나구요.. 다음이 비트코인과 에이다 입니다..

에이다도 계속 지지부진 하다가 11월 이후에 만회해서 비트코인하고 비슷해 진 것이구요

마지막으로 이더리움 꼴찌네요..

7월 까지는 이더리움이 괜찮았는데.. 7월 이후 움직임이 너무 안 좋습니다..

 

그럼 시간을 좀 더 앞당겨서 2023년 1월을 기준으로 볼까요 ?

그래프가 좀 더 분명해지죠 ?

솔라나가 앞도적으로 수익률이 좋습니다.

작년 10월부터 상승률에서 차이를 만들어내기 시작해서 최근까지도 너무나 좋은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리플하고 비트코인이 거의 비슷하게 2위이구요..

에이다가 최근 상승으로 미세하게 4위이고..

2023년 1월 기준으로봐도 이더리움이 꼴찌네요..

1년전을 기준으로 봐도 그렇게 2년전을 기준으로 봐두 이더리움은 수익률이 너무 좋지 못합니다.

 

다음으로 비트코인 차트만 따로 떼어서 보겠습니다.

6월 이후의 차트구요..

11월 이후에 거래량이 급격히 증가한 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매수 거래량이 매도 거래량보다 많은것을 보실수 있구요.

12월 들어서도 대규모 매수 유입이 있었던 것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블랙록이 거의 매주 비트코인을 매수하고 있다는 소식이구요..

대부분의 기관 및 일반 기업들까지도 비트코인 매수세에 가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비트코인이 가격에 영향을 줄 만한 주요 이후 일정을 보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10일 주주총회에서 비트코인 투자여부를 결정할 예정이구요.

연준은 12월 19일 금리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일본은행의 금리 발표도 매우 중요하겠죠 ?

지난해 8월 엔케리청산 우려로 폭락했던 것을 기억한다면 이번 일본은행의  19일 금리발표도 주목해야 겠습니다.

 

장기적 가격에는 크게 영향이 없겠지만, 단기적으로는 어느정도 영향을 줄수있는 일정인 만큼 투자에 유의하셔야 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최근 움직임이 너무나 좋은 리플의 차트만 따로 보겠습니다.

최근에 고점을 찍고 하락하긴 했습니다만, 다시 매수세가 유입이 되었고, 지금은 잠시 쉬어가는 중 인것 같습니다.

지금까지는 매수 거래량이 확실히 우세했으나, 앞으로는 어떨지 조금 더 지켜봐야 겠습니다.

이후 또다시 매수 거래량이 많아지면 다시한번 추가적인 상승을 보여줄 수 있겠구요..

그렇지 못할 경우 이 구간을 Base 로 해서 조정을 계속 받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최근 소식을 들어보니 국내 전체 증시 거래량보다 국내 코인거래소의 거래량이 2배나 더 많다고 합니다.

국내 증시에서 자금이 이탈하는 것은 안타까운 뉴스이지만,

돈의 속성을 보면 이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인 것 같습니다.

 

앞서도 잠시 말씀드렸지만,

비트코인은 주요기관과 기업들의 움직임 ,

연준 및 일본은행의 금리발표 등에 어느정도 영향은 받겠지만,

기본적으로 비트코인이 상승 사이클에 있는만큼 단기 및 중기적으로 계속 좋은 흐름을 보여주리라 예상되구요..

이에따라 코인쪽에 자금은 계속 유입되리라 생각됩니다.

 

다만, 알트코인은 코인별로 순환 상승이 예상되는 만큼 무리한 투자보다는 소액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