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코인/메타코인 가격현황

구글 윌로우로 인해 비트코인 폭락 후 다시 재 반등에 성공

Charging Bull [차징 불] 2024. 12. 13. 20:31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제이슨 입니다.

오늘은 지난 한주 동안의 미국 경제 소식 , 코인뉴스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경제 소식 

 

미국 거시경제 지표들을 좀 보면

 

 3분기 미국 GDP 성장률이  2.8% 로 견조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음

 

 헤드라인 PCE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는 전년동월대비 2.3% 상승 전월대비 0.2% 상승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년동월대비 2.8% , 전월대비 0.3% 상승

 

▷ 헤드라인 CPI (소비자물가지수) 는 전년 대비 2.7% 상승, 전월대비 0.3% 상승

▷ 변동성이 큰 식품,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 는 전년대비 3.3% 상승, 전월대비 0.3% 상승

 

▷ 소비자물가 CPI 선행지표로 활용되는 PPI (생산자물가지수) 는 전년동기대비 3%, 전월대비 0.4% 상승했고, 연간 상승률은 2023년 2월 이후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고 하네요..

 

▷ 여기서, 참고로 CPI 와 PCE 지수의 차이를 좀 말씀드리면, CPI는 소비자가 직접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금액변동을 말하는 것이구요.  주거비 , 음식 , 옷 , 교통비 ,  기타소비재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PCE 지수는 한 나라의 모든 개인이 소비한 금액의 총합으로 좀 더 포괄적인 개념이구요. 소비자가 직접 지출하지 않는 그러니까 정부나 기관이 부담하는 부분, 예를들어 의료서비스 (정부부분) 도 포함하기 때문에 더 포괄적인 물가 변동을 보여주고 , 일반적으로 연준은 PCE 지수를 바탕으로 정책을 수립합니다.

 

▷ 정리를 해보면, 근원 PCE 가 헤드라인 PCE 보다 상승률이 높고, 근원 CPI가 헤드라인 CPI 보다 상승률이 높다는 것은 인플레이션의 잠재적 위험이 아직 완벽히 해소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PPI도 상승세를 보였다는 것은 미래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구요. 

 

▷ 다만, 반대로 해석을 해보면 그만큼 현재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이 아직도 강력하고 미국 경제가 활황임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다소의 우려는 있지만 연준은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보고있기 때문에 주식과 가상자산 시장에는 나쁘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시카고 상품거래소에서는  CPI 발표 직후에 연준 금리인하 가능성이 85% 에서 96% 로 상향 조정 됐다고 하네요.

 

 주요국 통화를 보면 캐나다는 금리를 빅컷 0.5% 인하 단행했고, 유럽은행은 0.25% 인하를 했습니다.

 중국은 내년 경제 회복을 위해 국채 발행을 확대할 예정이고, 금리 인하 등 유동성 공급을 확대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우려가 되었던 일본은행의 이번 달 금리 인상 전망은 당초 66% 에서 이달 초 40% 아래로 하락 (금리동결에 무게를 두고있음)

 전반적으로 유동성이 확장되는 국면에 있기때문에 일시적인 조정은 있겠지만 당분간 주가는 좋은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준 금리 발표일은 한국시간 기준 12월 19일 새벽 3시~4시 경으로 예정

 일본은행 금리발표일도 한국시간 기준 12월 19일 예정

 

 국제 금 시세도 지난주 대비 0.6% 상승하면서 그동안의 하락세를 멈추고 베이스를 다지는 모습입니다.

 

 

 

 

코인뉴스

 

그럼 이어서 코인뉴스 전해드리겠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연례 주주총회 찬반투표에서 비트코인 투자 안건이 부결되었고, 특히 이후에 구글 윌로우의 출연으로 비트코인이 큰 조정을 겪는듯 했지만, 하루 만에 다시 반등에 성공하고 오히려 지금은 더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구요.

 

윌로우가 비트코인 암호에 위협적 이라는 소식이 있긴 했지만, 앞으로 10년 내에는 불가능한 일이라는 것이 밝혀 지면서 비트코인가격은 다시 정상적으로 좋은 흐름을 이어 갔습니다.

 

비트코인 관련한 이번주 주요소식 으로는 ,

 

미국에서 캘리포니아에 이어 경제 규모가 두 번째로 크고 비트코인 채굴업체들이 가장 많이 밀집한 주인 미국 텍사스주에서 비트코인을 주 정부의 전략자산으로 비축하도록 하는 법안이 발의 됐다고 하구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비트코인 투자를 공식적으로 권장하며서 투자자들에게 포트폴리오의 최대 2%를 비트코인에 할당하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합니다. 블랙록은 최근에도 마이크로 스트래티지와 함께 계속 비트코인을 매수중에 있는 기관 이기도 하구요, 현재 블랙록이 보유한 비트코인은 지난 10월 기준 40만개를 넘어선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 목요일에 트럼프 당선인은 CNBC의 짐 크레이머 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암호화폐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가 될 것 이고 앞서 나가고 있다.” 고 언급하기도 했네요.

 

빌 해거티 상원의원은 미국이 전략적 비트코인 ​​보유금을 설립할 것을 촉구하면서 이것이 자유의 원칙과 일치한다고 강조 하기도 했습니다.

 

물론 전 재무장관 래리 서머스와 같이 비트코인 보유에 반대하는 분들도 계시지만 현재의 미국 분위기는 비트코인에 매우 우호적인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전세계 자산 시가총액 7위에 랭크되어 있구요

금 , 애플 , 엔비디아 , 마이크로소프트 , 아마존 , 구글 다음에 위치해 있습니다.

구글과는 2,000 억 좀 못된 금액 차이밖에 되지 않아서 조만간 구글과도 자리 바꿈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종목 전주 이번주 변동가격 변동률
비트코인 137,306,000 143,108,000 5,802,000 4.2%
이더리움 5,421,000 5,550,000 129,000 2.4%
리플 3,174 3,300 126 4.0%
솔라나 330,700 321,100 9600 2.9%
에이다 1,620 1,550 70 4.3%
도지 600.4 574.4 26 4.3%
수이 5,854 6,680 826 14.1
스텔라루멘 652 596 56 8.6%
헤데라 392.9 431.1 38.2 9.7%
시바이누 0.0421 0.03964 0.00246 5.8%
페페 0.02971 0.03368 0.00397 13.4%
니어프로토콜 10,830 9,750 1,080 9.9%
셀레스티아 11,960 10,220 1,740 14.5%
폴카닷 14,300 12,750 1,550 10.8%
에이셔 106.9 113.4 6.5 6.1%
이더파이 - 3,840 - -
봉크 - 0.05458 - -
네이로 - 2.34 - -
렌더토큰 - 13,180 - -


 

 


그리고 잠시 비트코인 차트를 보시면,

장단기 이동평균선 모두 정배열로 좋은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구요.
특히 거래량이 줄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가격이 강보합을 보이고 있다는 것은, 파는사람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신호로 보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일정 시점이 오면 기관의 유입으로 다시한번 상승할 여지가 충분히 있다고 보여지네요.
 

 
지난 비트코인 사이클과 비교해 봤을때 이번주에 어느정도 의미있는 변화가 있을것으로 전망됩니다. 아직 비트코인은 4차 사이클의 상승장에 있기 때문에 단기 급등락에 일희일비 하기보다는 추세를 보고 자신만의 시나리오와 목표에 맞춰서 투자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