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코인/메타코인 가격현황

이더리움이 모처럼 상승하고 셀레스티아가 20프로 이상 상승한 한 주

Charging Bull [차징 불] 2024. 11. 30. 06:15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개미코끼리 입니다.
 
먼저 지난주 23일 토요일 대비 30일 토요일 오전 기준 주간 가격 변동 현황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주 겐슬러 위원장 사임 발표이후 급격히 올랐던 코인들은 이번주에 조정의 한 주를 보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 초엔는 계속 약세였고, 다만 주 후반에 겐슬러 위원장 사임이후 리플 관련된 소송이 취하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리플과 일부 코인들이 다시 하락에서 상승으로 전환했습니다. 그동안 폭등 수준의 상승을 보였던 리플의 동생 스텔라루멘은 주 초 큰 조정을 겪은 뒤 다시 주 후반 어느정도 만회하여 지난주와 비슷한 가격을 보여 줍니다.
 
다만, 이번주 하락장에서 유일하게 이더리움은 홀로 상승했네요^^
이더리움이 독자적인 상승 모습을 보여주었고, 특히 셀레스티아는 22.3% 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여줬습니다.
 
거래대금은 토요일 오전 기준으로 리플이 2조 7,366억 으로 가장 많고, 뒤를 이어 스텔라루멘이 1조 1,386억으로 뒤를 잇고 있습니다. 아마도 오늘 기준으로 단기적으로는 주말에 상승곡선을 그릴 종목으로 리플과 스텔라루멘이 가장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코인의 지수인 비트코인은 현재 거래대금이 4,545억 으로 시총에 비해 많이 낮습니다. 이번 주말에는 급격한 상승이나 하락이 나올 규모가 아닙니다. 다만, 강보합을 유지하다가 다음주에서 상승을 이어가리가 예상되네요!
 
그럼 이번주에 오랜만에 상승한 이더리움과 가장 많이 상승한 셀레스티아 차트를 같이 한번 볼까요 ? 
 

종목전주이번주변동가격변동률
비트코인136,020,000134,641,000 1,379,0001.0%
스텔라루멘737735.3 1.70.2%
헤데라215.5232.416.97.8%
수이4,9244,826982.0%
리플2,1232,38526212.3%
에이다1,4931,456372.5%
도지633.3587.745.67.2%
이더리움4,612,0004,949,000337,0007.3%
솔라나358,300334,60023,7006.6%
시바이누0.03720.0360.00123.2%
페페0.029350.028410.000943.2%
니어프로토콜8,8509,4906407.2%
테더1,3821,38750.4%
셀레스티아9,12511,1602,03522.3%
폴카닷11,42011,9605404.7%

 
 

 
이더리움 차트를 보시면,
11월 27일에 의미있게 상승을 했습니다.
시가 4,653,000 에서 종가 5,070,000 으로 마감을 했는데요. 
지난주에 이더리움 현물 ETF 가 순유입을 기록하며 상승을 이끈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러나, 이더리움 거래소보유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차익실현에 대한 가능성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전해 집니다.
 
이더리움이 과거와는 달리 알트코인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는 못하는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비트코인이 움직이자 이어서 솔라나 리플 도지 에이다 등이 바로 움직였고, 이 4개의 알트코인은 비트코인와 약간의 시차를 두고 움직이지만, 이더리움만 역주행을 하거나 독자적 노선을 걷고 있습니다. 
그래도 이더리움은 "알트코인의 대장" 이라고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실제로 이번에도 알트코인 장을 이끌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겠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알트코인 대장으로서의 모습은 보여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의 경우에는 스테이킹 보상에 대한 ETF 승인되면 다시한번 추가 상승할 여력이 있고, 아직은 비트코인 상승장의 초입구간인 만큼 이더리움도 따라서 등락을 거듭하며 상승하리라 생각은 됩니다.
11월 19일에 60일 이동평균선과 120일 이동평균선의 골든크로스가 포착이 되고 정배열의 모습을 갖춰가고 있는것으로 보아 12월에는 상승의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다음은 이번주에 의미있게 상승하 셀레스티아를 볼까요?
셀레스티아는 11월 7일 60일 이동평균선과 120일 이동평균선 골든크로스가 포착된 이후 계속 횡보하다가 최근 정배열의 형태를 갖춰나가고 있습니다. 역시 12월 상승을 예상해보게 됩니다.
이번주 상승과 관련해서는 겐슬러 위원장 사임 외에는 특별한 호재는 없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혹시 제가 모르는 뉴스가 있을수도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별도로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코인의 지수인 비트코인을 말하지 않을 수 없겠죠..
차트를 보면 비트코인의 지난 1년여간의 여정을 볼 수 있습니다.
 
5일 이동평균선이 다소 꺽이긴 했습니다만 별로 신경쓸 필요는 없을것 같구요..
이번주가 미국 추수감사절 휴가가 있는 주 이었기 때문에 차익실현 물량과 휴가등이 겹쳐서 약보합세를 보인것으로 보입니다.
 
3분기 미국 GDP 성장률 잠정치가 2.8% 로 견조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고, 헤드라인 PCE 가격지수는 전년동월대비 2.3% 상승 전월대비 0.2% 상승하였고,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년동월대비 2.8% , 전월대비 0.3% 상승했습니다.
근원 PCE 가 헤드라인 PCE 보다 높다는 점이 인플레이션의 우려를 높이긴 하지만 연준의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이어서 시장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할 듯 합니다.
파월 의장이 "때론 울퉁불퉁한 길이 있겠지만 나는 인플레이션이 우리의 2% 목표 수준으로 지속해서 둔화할 것으로 기대한다" 는 발언을 기초로 월가는 12월에서 0.25% 금리인하 가능성을 70% 가까이 보고 있다고 전해집니다.
 
비트코인에게는 나쁘지 않은 상황으로 보여지고, 각국 은행들도 금리를 인하하는 시기이므로 비트코인의 저장수단으로서의 가치가 당분간은 더욱 빛을 보리라 예상됩니다.  다음주부터 12월 중순까지는 다시 10만달러를 향해 상승하리라 조심스럽게 예상해 보게 되네요
 
만약 비트코인이 다음주 조정을 마치고 다시 전고점을 돌파하여 10만 달러를 넘어서게 되면, 12월에는 다른 알트코인들도 조금씩 움직이리라 생각이 듭니다.

 

 
마지막으로 국제 금 시세는 2주 연속 하락하다 지난주 모처럼 상승으로 전환했는데, 이번주는 주간 가격기준으로는 다시 하락했네요. 주 초반 급격이 하락한 이후 주 후반 회복하는 모양세 입니다.
전체적으로 지정학적 위기의 시대에 금으로 쏠렸던 자산들이 코인과 일부 미국주식 중 성장성이 높은 리스크 종목으로 이동하는 모양세 입니다. 금리 이하도 이런 방향성에 한 몫 하고 있기도 하구요..

종목전주이번주변동가격변동률
국내 금121,930119,9901,9401.6%
국제 금2,7122,674.637.41.4%

 

 
 
비트코인을 중심으로한 코인 분위기는 아직은 전반적으로 GOOD 입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