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AI양자)/종목분석

퀀티넘 주요소식 및 업데이트

Charging Bull [차징 불] 2025. 4. 9. 09:17
728x90
반응형

 

최근 미국증시 분위기가 별로 좋지 않죠. 대내외적인 상황과 주요 경제지표들의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물론, 미국증시는 한번정도 조정이 올만한 상황이기는 했는데요. 트럼프 집권초기의 정책이 투자자의 불안심리를 더하면서 증시 조정의 트리거가 되었다고 보여집니다.

작년 9월경에 피벗의 시대라고 장및빛 전망을 얘기하는 사람들이 많았었고 트럼프 대통령 취임과 맞물려서 증시에 어느정도 거품이 끼었던 것은 사실이었다고 보이구요. 지금은 그 거품이 빠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이 되는데요.

오히려 자연스럽게 증시가 건강해지고 있는만큼 실질적인 금리인하의 피벗 지점이라고 할 수 있는 올해 하반기가 되면 다시 좋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구요.

그런만큼, 양자주 중에서 기초체력을 잘 다져다고 있는 종목들의 경우에는 올 하반기에 상당히 좋은 흐름이 예상이 됩니다.

 

오늘은 퀀티넘 관련 지난소식과 최근소식을 정리해 보려고 하는데요.

퀀티넘 상장이 올해안에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관련내용을 계속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지구요. 특히나 퀀티넘은 이온트랩 분야에서 아이온큐과 대장주 역할을 할 회사이기 때문에 양자주 투자자라면 상장하기 전이라도 꾸준히 관심을 갖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퀀티넘에 대해서 우리가 알고 있어야 할 핵심내용과 주요소식을 정리해 보면요,

퀀티넘은 현재 하니웰의 자회사 이지만, 하니웰의 여러 사업중에 가장 가치가 높은 핵심사업으로 인정을 받고 있구요. 말씀드린바와 같이 상장을 준비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아이온큐 처럼 이온트랩기술을 주력으로 하고 있는 풀스택 양자컴퓨터 회사구요. 마이크로소프트 , 아마존 , 테슬라 , 소프트뱅크 , 엔비디아 같은 메이저 기업들과 양자기술 관련한 파트너쉽을 가지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와는 GPU 에 양자기술을 접목하는 기술협력을 해오고 있구요. 테슬라와 HPE 와 같은 자동차회사와는 양자기술을 이용해서 생산효율성을 높이고 혁신적인 전기차 신재료개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Generative Quantum AI 공개하면서 생성형 AI 시장의 기술적한계를 양자기술을 통해서 획기적으로 개선할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했구요. 글로벌 제약기업들과 양자기술을 통한 의학분야 혁신을 가속화 해나가고 있기도 합니다.

양자컴퓨터는 계산 효율성과 에너지 효율 이라는 측면에서 압도적 우위에 있기 때문에, 종합적인 상업성을 갖추게 된다면 시장이 형성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생각이 되는데요. 퀀티넘은 이런 상업화를 앞당기기 위해서 최근 소프트뱅크와 양자기술 상업화를 위한 제휴를 맺기도 했구요, 일본 국립연구개발기관인 리켄과는 슈퍼컴퓨터와 양자컴퓨터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을 연구하면서 100% 양자기술이 상용화되기 전이라도 하이브리드 방식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서 연구에 매진하고 있기도 합니다.

그리고, 큐비트 제어기술의 핵심인 포토닉스 광자기술 연구를 위해서 뉴멕시코 지역에 포토닉스 연구센터를 오픈한다는 소식도 있었구요. 주변대학과 글로벌 IT 기업과의 컨소시엄을 통해서 시너지를 높여갈 것으로 예상이 되는 소식이었습니다.

 

최근에는 양자알고리즘회사인 패이스크래프트 Phasecraft 라는 회사와 파트너쉽을 발표하기도 했는데요.

이번 파트너쉽을 통해서 페이즈크래프트는 퀀티넘의 주력 양자컴퓨터 H2 에 접속을 할수있게 되었구요. H2 를 통해서 양자알고리즘을 연구하고, 다양한 분야의 응용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될 것으로 보입니다. 퀀티넘도 페이즈크래프트의 여러 특허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만큼 양사가 서로의 장단점을 보완해 주면서 양자우위와 상업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가 되는데요. 이번 파트너쉽은 앞으로 출시될 퀀티넘의 양자컴퓨터 헬리오스와 아폴로의 개발까지 계속 진행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캠브리지 대학교 캐번디시 연구소에서 2018년에 분사하면서 설립된 뉴 퀀텀 Nu Quantum 의 주도로 진행되고있는 QDA (Quantum Datacenter Alliance) 퀀텀 데이터센터 얼라이언스에 퀀티넘도 참여한다는 소식도 있는데요.

뉴 퀀텀 이라는 회사는 흩어져 있는 양자프로세서들을 서로 엮어서 대규모 데이터센터규모의 양자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연구작업을 해오고 있었구요, 이번에 QDA 얼라이언스를 결성해서 이러한 대규모 양자시스템의 상업적인 확장성을 가속화해 나가고, 관련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구축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 얼라이언스에는 뉴 퀀텀을 포함해서 디지털 통신기술 분야에 시스코시스템즈 , 정보기술과 데이터센터 서비스 분야에 NTT DATA UK&I , 초전도 양자컴퓨터 회사 OQC , 광학양자 시스템과 양자 인터페이스기술 분야에 큐포엑스 QphoX , 중성원자 양자컴퓨터 분야에 큐에라 QuEra, 그리고 퀀티넘이 참여하게 됩니다.

이 외에도 퀀티넘은 미쓰비시 전기(Mitsubishi Electric), 게이오 대학(Keio University), 소프트뱅크(SoftBank Corp.), 미쓰이 (Mitsui & Co., Ltd.), 요코하마 국립대학교(YOKOHAMA National University), 주식회사 엘큐옴LQUOM(LQUOM, Inc.) 과 함께,

실제 환경에서 여러개의 양자소자의 정보를, 광자로 전송해서 연결하고, 연결된 양자소자를 통해서 효율적인 양자정보 처리를 할수있도록 하는,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습니다. 처리능력과 운영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상호 연결시스템을 가능하게 해서 단일 양자컴퓨터가 가진 한계를 극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데요.

요 개발 아젠다에는 양자 메모리, 양자 중계기, 고효율 변환기, 전송 안정화를 위한 시스템 , 작동제어 시스템 등이 포함됩니다. 앞으로 가와사키시, 요코하마시, 가나가와현의 지원을 받아서 다중장치연결을 시연할 예정이구요, 도시 간의 양자 연결을 테스트해서 가상의 대규모 양자 컴퓨팅이 가능한지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라고도 하는데요.

퀀티넘과 소프트뱅크와의 파트너쉽으로 일본에서의 양자컴퓨터 연구가 활발해 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이 됩니다.

 

퀀티넘 상장 관련해서는 아직 업데이트된 소식은 없구요.

빠르면 올해 6월에서 7월 정도 상장이 될 것으로 보이고, 늦어도 올해 말 까지는 상장되지 않을까 예상이 되는데요. 물론, 항상 변수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일단은 지켜보면서 상황을 봐야 할 것 같구요.

만약 상장이 올해도 지연이 된다면, 내년에 하니웰 구조조정으로 분사가 되는 3개의 회사중에서, 자동화 사업부에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양자산업의 이온트랩 분야에서는 아이온큐와 함께 해당기술분야를 리딩해갈 기업으로 기대가 되기 때문에 계속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